The philosophical problem of translation discours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167:139-159 (2023)
  Copy   BIBTEX

Abstract

문화 소통의 유일한 방편으로서 번역은 방법적 측면에서 절대적 위치를 가지고 있다. 문화적 소통이나 철학적 소통은 번역에서 시작되어 번역으로 끝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므로 이질적인 집단 사이에서 번역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그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인문학적 대상으로서의 번역은 부차적 하위 분과로 경시되어 왔던 것도 사실이다. 그러한 경시의 여파는 제국주의 시기에 약소국의 문화와 이념적 보루를 무너뜨리는 침략의 선봉으로 작용했던 것도 사실이다. 이러한 문제는 번역 과정에서 번역자의 합리적이고 객관적인 철학이 개입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철학적 사유가 이질과 차이를 해소하는 방편이라고 본다면 번역 과정에서 철학적 판단의 개입은 정당할 수밖에 없다. 이 논문이 번역철학이라는 주제를 다루게 된 것은 차이는 차별의 근거가 될 수 없다는 전제하에서 근대 이해 진행된 번역의 현실적 문제를 지적하고 이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자 한 것이다.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93,612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About Language Constitutes My World.이지중 ) - 2021 - Philosophical Practice and Counseling 11:99-120.
Park Sun’s Philosophy through Seo Kyung-duk’s World View. 엄진성 - 2018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91:217-238.
G. W. F. Hegel and Philosophical Problem of ‘Translation’. 서정혁 - 2017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16:129-152.
Philosophical writing guidance for high school students. 이진회 - 2018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93:281-301.
Merleau-Ponty’s Problem of the Body and Feelings. 심귀연 - 2017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80:77-96.
Wittgenstein and Therapeutic Philosophy. 이상룡 - 2017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80:51-75.

Analytics

Added to PP
2023-09-12

Downloads
1 (#1,915,729)

6 months
1 (#1,719,665)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Sorry, there are not enough data points to plot this chart.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