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pernicus’ Philosophical Situation and the Problem of Humanity - Renaissance, Descartes, and after that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54:1-26 (2023)
  Copy   BIBTEX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르네상스에서 데카르트에 이르는 시기에 휴머니티에 대한 사유가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탐구하는 것이다. 이 시기는 전통적 세계의 위기와 새로운 세계로의 이행으로 특징지워진다. 특히 코페르니쿠스의 우주론은 유럽인들이 세계와 인간을 바라보는 관점에 큰 충격을 주었다. 우주의 크기의 확장 혹은 무한한 우주라는 생각은 인간의 가치에 대해 새롭게 생각하기를 강하게 요구했다. 코페르니쿠스의 우주론과 함께 의미로 충만하고 빛나던 코스모스는 해체되기 시작되었다. 이제 무한하게 펼쳐진 단 하나의 물질의 세계만이 인정된다. 이 상황은 인간과 세계를 이해하는 것에 있어서의 위기를 의미했으며 이 위기는 새로운 합리성의 형성을 촉구했다. 이것이 코페르니쿠스의 철학적 상황이다. 근대 철학은 이 상황이 제기하는 철학적 문제들에 대한 답변의 연속이다. 이 연구에서 나는 코페르니쿠스의 철학적 상황이 제기하는 물음들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르네상스에서 데카르트에 이르는 시기의 휴머니티에 대한 사유가 인간중심주의적 사유와 동일시될 수 없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몽테뉴, 샤롱, 그리고 데카르트에 의한 휴머니티에 대한 철학적 사유가 어떤 점에서 신학적 사유나 칸트의 철학과 구분되는 독특성을 가지는지 설명한다.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93,069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Lovecraft and Philosophy : Life as Anti-Cosmos. 주재형 - 2021 - Phenomenology and Contemporary Philosoph 89:73-118.
Forgiveness as Something We do. 이선형 - 2019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38:75-96.
From Wittgenstein to Taoism.Michael T. Michael - 2018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36:83-108.
Heidegger's Concept of World and World-formation of Dasein. 김형찬 - 2017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79:93-121.
Foucault and Philosophy. 김은주 - 2022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52:29-58.
Cosmos, Cosmology and Philosophy of Cosmology: An Essay on Archeology of Cosmology. 이지선 - 2020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30:69-97.

Analytics

Added to PP
2023-03-14

Downloads
5 (#1,561,562)

6 months
2 (#1,259,919)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