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Topology of Conflict and the Dialectic of Liberation - A Study through the Poetic Cognition of Philosophy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163:1-24 (2022)
  Copy   BIBTEX

Abstract

갈등은 일차적으로 개인(주관)의 심리문제일 것이지만, 결국은 사회(주체)의 정치적 문제가 된다. 그리고 이 정치적 문제는 갈등의 제거가 아니라 갈등의 승인에서 가능하다. 이는 갈등에 대한 정치적 논의가 사회적 현실에 대한 “탈구와 재구성”의 역학, 즉 ‘해방의 변증법’을 수반하는 ‘갈등의 위상학’을 통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주체에 억압된 욕망, 부연하자면 ‘존재론적 욕망’으로 회귀하며 “내재성”의 논리에 입각해 갈등의 ‘위상학’(topology)을 선명히 가리킨 것은 현대의 철학, 특히 후설 이후 메를로퐁티와 하이데거, 그리고 라캉과 들뢰즈의 철학이었다. 이 글은, 이들에 함축된 ‘시(詩)적 인식’의 위상학적 양상을 메를로퐁티의 관점으로 수렴하는 자리에서, 갈등이 갖는 해방의 변증법적 의의를 짚은 후, 우리사회에서 폭발하는 갈등이 위기가 아니라 사실은 〈외재적 초월의 유토피아적 허구를 넘는 ‘내재적 초월’의 현실에 입각해 정치적 상상력을 재정립할 기회〉의 한 계기임을 제시할 것이다.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93,642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A Critique of the Opposition’s Arguments on Political Correctness. 이윤복 - 2022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10:75-98.
Reductive Analysis on the Political Conflicts in Modern Plural Society. 김대수 - 2018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91:81-104.
On the Agent of Political Reponsibility by Iris Marion Young’s Social Connection Model. 서원주 - 2023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43:1-21.
Postdemos : Possibility of a New Political Subject. 박성진, 김현주, 윤비 & 김동일 - 2017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90:23-47.
An Ontological study of ‘Identity’. 박현정 - 2021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46:61-93.

Analytics

Added to PP
2023-01-08

Downloads
1 (#1,722,932)

6 months
1 (#1,912,481)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Sorry, there are not enough data points to plot this chart.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