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der:
  1. 현상학의 글로컬리티와 파토스. 송석랑 - forthcoming - Philosophy and Culture.
    No categories
     
    Export citation  
     
    Bookmark  
  2. 뇌 과학과 철학의 접점에서. 송석랑 - forthcoming - Philosophy and Culture.
    No categories
     
    Export citation  
     
    Bookmark  
  3.  1
    Political Nature of Honour and a Phenomenological Alternative - A study for the moral power of life -. 송석랑 - 2011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60:235-264.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4.  1
    The Topology of Conflict and the Dialectic of Liberation - A Study through the Poetic Cognition of Philosophy -. 송석랑 - 2022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163:1-24.
    갈등은 일차적으로 개인(주관)의 심리문제일 것이지만, 결국은 사회(주체)의 정치적 문제가 된다. 그리고 이 정치적 문제는 갈등의 제거가 아니라 갈등의 승인에서 가능하다. 이는 갈등에 대한 정치적 논의가 사회적 현실에 대한 “탈구와 재구성”의 역학, 즉 ‘해방의 변증법’을 수반하는 ‘갈등의 위상학’을 통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주체에 억압된 욕망, 부연하자면 ‘존재론적 욕망’으로 회귀하며 “내재성”의 논리에 입각해 갈등의 ‘위상학’(topology)을 선명히 가리킨 것은 현대의 철학, 특히 후설 이후 메를로퐁티와 하이데거, 그리고 라캉과 들뢰즈의 철학이었다. 이 글은, 이들에 함축된 ‘시(詩)적 인식’의 위상학적 양상을 메를로퐁티의 관점으로 수렴하는 자리에서, 갈등이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