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Vijñapti in the Viṃśikā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04:239-261 (2021)
  Copy   BIBTEX

Abstract

이 글의 목적은 바수반두 『유식이십론』 9송에 나타나는 vijñapti의 의미를 드러내는 것이다. 특히 『유식이십론』 9송은 vijñapti의 발생론적 관점을 유식 논서 처음으로 언급한다. vijñapti는 근과 경으로부터 생기는 vijñāna와는 달리 자종자와 현현으로부터 생긴다는 9송이 그것이다. 게다가 『유식이십론』에는 이 세계가 오직 vijñapti라는 것을 증명하기 위하여 대상 부정이라는 방식을 채택하는 가운데 존재하지 않는 대상과 오직 존재하는 vijñapti와의 관계 또한 기술되어 있다. 『유식이십론』에서의 vijñapti의 이러한 용례에 주목하여 vijñapti의 정체를 보다 분명하게 드러내고자 한다. 이에 『유식이십론』 9송을 중심으로 vijñapti와 자종자(svabīja)와의 관계와 더불어 현현(pratibhāsa)과의 관계를 살펴본다. 아뢰야식(ālaya-vijñāna)에 저장된 자종자는 vijñapti 발생의 직접적인 원인이고 자종자가 뭇 인연을 만나 변하여 대상과 유사하게 현현하는 것이 바로 vijñapti라는 것이 드러날 것이다. vijñapti는 자종자를 원인으로 삼아 대상과 유사하게 현현한다는 것이다. 어떤 하나의 대상을 식별한다는 것은 바로 대상과 유사한 형상으로 현현하는 것이다. 식은 종자와 현현을 모두 포섭하고 있다는 특성을 지닌다. 이에 vijñapti는 자종자를 지닌 vijñapti와 현현을 지닌 vijñapti로 존재한다. vijñapti는 대상을 아는 작용이 아니라 대상과 유사하게 나타나는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대상은 물질성으로서가 아니라 내부 종자가 대상으로 ‘현현한 것’(vijñapti)이다.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93,642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行相(Ākāra) of『成唯識論』. 유리 - 2020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02:247-269.
Ethics of Feeling in Whitehead Philosophy. 김영진 & 김상표 - 2017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90:127-163.
The Inquiry of the Metaphor of the 'Keśādi appearing to the Taimirika'. 김성옥 - 2010 - The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29 (29):329-350.
Cosmos, Cosmology and Philosophy of Cosmology: An Essay on Archeology of Cosmology. 이지선 - 2020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30:69-97.
A Study on the Form of Adorno’s Theory of Moral. 정진범 - 2019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39:139-165.
The Philpsophical Reflection about Living Together viewed on The Nicomachean Ethics. 전재원 - 2017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80:1-19.
Epistemology of Cybernetics and Meta-scientifical Position. 문장수 - 2018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94:217-243.
Dialectic of Enlightenment as Genealogical Critique. 정진범 - 2019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41:145-175.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2

Downloads
1 (#1,722,932)

6 months
5 (#1,552,255)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