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der:
  1.  3
    A study of Toegye’s self-cultivation and practical implication based on the Ten Diagrams on Sage Learning. 강보승 - 2015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46:117-143.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  4
    A Study on Jung-am Cho Kwang-Jo's View on Self-cultivation. 강보승 - 2017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55:69-96.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 우계(牛溪) 성혼(成渾) 연구의 성과와 전망. 강보승 - 2019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63:33-72.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4.  1
    The Meaning of T’oegye's Conception of li-fa(revelation of Li), examining with debate of Anti-equilibrium at Four Beginnings. 강보승 - 2016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51 (51):69-98.
    고봉은 리가 발하여 기의 방해를 받으면 사단도 중절하지 않을 수 있다고 함으로써 리발이 반드시 순선한 감정과 행동으로 이어지지 않음을 주장하였다. 이에 퇴계는 리가 발한 사단의 순선함을 강조하면서 기질에 좌우되는 일반감정을 천리에서 유래한 도덕감정과 혼동해서는 안 된다고 하였다. 고봉은 다시 성인이 아닌 이상 사단의 중절을 유지하기 어려우며 주자도 사단부중절을 언급하였다고 반박한다. 퇴계는 ‘부중절은 기질 때문이지 순선한 사단이 왜곡되거나 사라지는 것은 아니다’라는 취지의 반론을 작성했으나 고봉에게 전달하지 않았고 고봉도 이 문제를 더 이상 언급하지 않았다. 퇴계는 만년에 『성학십도』 등에서 사단의 순선함을 여전히 자신의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5. 通過栗谷哲學摸索Well being文化的方向-以『聖學輯要』爲中心. 강보승 - 2009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60:7-40.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