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der:
  1.  3
    19세기 조선 최초의 교단 도교, 무상단(無相壇) 연구–『문창제군몽수비장경』을 중심으로–. 김윤경 - 2019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63:127-149.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  2
    A study about Naedan (内丹) Gugyeolseo (口訣書) in the Chosun Dynasty - Focusing on Danseogygyeol(丹書口訣) and Donggukjeondosipyukgyeol (東國傳道十六訣). 김윤경 - 2012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70:159-179.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  1
    A Study on the Ideological Connection between Hagok Studies and Dasan Studies. 김윤경 - 2018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93:57-82.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4.  4
    A Study on Taoism Scripture included in Maurice Courant's Bibliographie Coreenne. 김윤경 - 2016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50:269-303.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5.  5
    A Study on Taoism Theory in the Former Half of Joseon Dynasty. 김윤경 - 2014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43:9-32.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6.  5
    Criticism on Yang-ming Studies of Zhu-Xi Studies in the 19th century of the Chosun Dynasty. 김윤경 - 2017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92:71-103.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7.  4
    Developing of 'benevolence and justice(仁義)' and 'individual's self desire(私欲)' in Chosŏn commentators of Daodejing (道德經). 김윤경 - 2011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31:241-262.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8.  6
    Daoist Utopia. 김윤경 - 2017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89:171-190.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9.  4
    Expression and Deployment of Folk Taoism(民間道敎) in the late of Chosŏn Dynasty. 김윤경 - 2012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35:309-334.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10.  2
    霞谷 哲學의 조선 성리학적 기반 — 본체론을 중심으로 —. 김윤경 - 2013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73:135-168.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11.  3
    『Nojasangiju』, Religious transformation of ‘mind’. 김윤경 - 2012 - THE JOURNAL OF ASIAN PHILOSOPHY IN KOREA 37:185-204.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12.  7
    The Implications of Argument on Knowledge & Conduct Between Zhu-Xi Learning and Yang-ming Learning in Late Joseon Dynasty – Focusing on the argument on knowledge & conduct raised by Jeong Je-doo and his friends. 김윤경 - 2018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95:45-75.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3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13.  7
    The Tendency of Interpretation of the Four Books and Ideological Characteristics Observed in Jicheon Choi Myeong‐gil’s Samunrok(思問錄) (Ⅰ) - Focusing on Noneogieui(論語記疑). 김윤경 - 2015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47 (47):9-41.
    본 논고는 지천 최명길의 『사문록』 가운데 「논어기의」의 『논어』 해석 경향과 그 사상적 특징을 검토한 것이다. 지천 최명길은 주자의 경전해석을 통설로 여겼던 당시의 학문적 흐름에 의탁하지 않고 경전 본의를 주체적으로 탐색하였다. 그는 이 과정에서 고주를 인용하고 일본의 고주본까지 검토하였으며, 더 나아가서 고주와 신주에도 의존하지 않는 자신만의 독창적인 해석을 제시하기도 하였다. 먼저 고주를 인용하고 참조한 사례로는 「태백」 20장 ‘재난불기연호당우지재어사위성(才難不其然乎唐虞之際於斯爲盛云云)’, 「이인」 18장 ‘사부모기간(事父母幾諫云云)’, 「안연」 7장 ‘족식족병민신지의(足食足兵民信之云云)’ 에 대한 해석을 들 수 있다. 또 주자 신주에 비판적으로 접근했을 뿐만 아니라 고주에도 얽매이지 않는 독창적인 해석을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14.  1
    李忠翊의 ‘假論’ — 이탁오 眞假論, 정제두 假論과의 비교 —. 김윤경 - 2013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73 (73):201-221.
    정인보는 조선시대 학문의 ‘虛學’과 ‘假行’은 ‘實心’이 없기 때문이라고 보았다. 하곡학의 특징인 ‘眞假’의 구별과 ‘實心’에 대한 강조는 이충익의 『초원담로』와 『초원유고』 속에서도 드러난다. 본 논문은 이충익의 ‘假論’에 대한 논의를 살펴보고 이탁오의 眞假論(絶假純眞), 정제두의 眞假論과의 비교를 통해 이충익 ‘假論’의 위상과 의미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이충익의 ‘假論’이 당대의 현실에서 지니는 의미를 살펴보았다. 첫째 明代 이탁오의 ‘假’가 童心 즉 ‘眞心’을 잃은 상태를 나타낸다고 한다면, 霞谷學派가 말하는 ‘假’는 개인적 사욕을 위해, 혹은 정치적 목적을 위해 즉 ‘仁義’를 빌리는 태도를 의미한다. 물론 이충익 ‘假’의 용례를 세부적으로 고찰하여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