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der:
  1.  5
    A study on the number of ‘the learning of Zhouyi’. 김만산 - 2017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86:5-27.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  2
    形而上學的 存在原理에 근거한 太陰人의 心作用과 流氣障碍. 김만산 - 2011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59:349-366.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  2
    Principle of Existence in the Learning of Zhouyi and Physiology in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김만산 - 2016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81:33-54.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4.  4
    The master Kwan-Jung Yu, Nam-Sang’s view of the moral doctrine of changes. 김만산 - 2018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90:169-188.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5.  4
    干支의 존재 이유와 존재구조. 김만산 - 2019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94 (94):5-24.
    역도를 드러내는 방법은 세 가지로 구분되는데, 이는 간지도수원리․하도낙서원리․괘효원리다. 유가경전 중 역도를 표상하는 대표적 서적인 『주역』에는 주로 괘효원리로 역도가 표상되어 있으며, 약간의 간지도수원리와 하도낙서원리가 언급되어 있다. 그리고 『正易』에는 주로 간지도수원리와 하도낙서원리를 위주로 역도가 표현되어 있으며, 약간의 괘효원리도 언급되어 있다. 간지는 10천간과 12지지로 구성되어 있는데, 『정역』에 의하면 천지지수에 의하여 생성된다. 그런데 천지지수로부터 천간과 지지가 생성되는 이유는 천지만물의 근원자와 그로부터 생성된 실체(작용의 주체)와 작용원리를 드러내기 위해서 천간이 필요하며, 그 실체가 작용하는 때(시)를 드러내기 위하여 지지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천간은 기와 무 그리고 실체를 상징하는 경․임․갑․병으로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