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der:
  1.  5
    A Study on ChunChu in View of Post-Neo-Confucian Found in the Shim Dae-Yoon`s ChunChuSaJeonSokJeon. 김동민 - 2017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52:69-106.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  6
    A Study on the Interpretation Methodology of ZhuXi on Spring and Autumn Annals(春秋). 김동민 - 2015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83:127-164.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  2
    後漢 이후 讖緯의 전개 양상과 접근 방식. 김동민 - 2009 - THE JOURNAL OF ASIAN PHILOSOPHY IN KOREA 31:211-239.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4.  3
    Criticism and Argument on Du-yu of Dasan's Chunchugojing. 김동민 - 2012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71:91-118.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5.  5
    Characteristics in Classification of Chunqiu Introductory Remarks (凡例) demonstrated on Chunqiugwalyebulyu (春秋括例分類) by Seopa(西陂) Ryu-Hee(柳僖). 김동민 - 2017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54:115-151.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6.  2
    Compilation of SaGoJeonSeoChongMokJeYo (四庫全書總目提要) and Change of Academic Stream early in the Era of Ching - Focused on the Section of 'JeYo (提要)', 'GyeongBu (經部)'. 김동민 - 2011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67:221-250.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7.  5
    Establishment of Chunchu and Courtesy among Government Officials observed through King Jeongjo's Gyeongsagangeui. 김동민 - 2014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79:239-276.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8.  2
    He Xiu(何休) and Zheng Xuan(鄭玄)'s the Jin Wen/Gu WenDebates(今古文論爭) and its Meaning in the History of Confucian Classics. 김동민 - 2007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49:213-249.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9.  3
    Kang Youwei's Point of View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ix Confucian Classics and Confucius - Focusing on Kang Yuwei’s Kongzigaizhikao (孔子改制考). 김동민 - 2013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75:259-293.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10.  4
    Kang Yu Wei (康有爲)'s Understanding on Hundred Schools through the Book, Confucius as a Reformer(孔子改制考). 김동민 - 2013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73:375-405.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11.  5
    Modern Value of Confucian Leadership in the Perspective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김동민 - 2014 - THE JOURNAL OF ASIAN PHILOSOPHY IN KOREA 41:371-404.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12.  3
    『中庸』의 ‘戒愼恐懼’와 ‘愼獨’의 상호관계에 대한 연구 - 王船山의 『讀四書大全說-中庸』을 중심으로 -. 김동민 - 2010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63:329-360.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13.  6
    On Wang Sŏnsan(王船山) Chungyong's Practical Principles of Self-Cultivation, Chonyangsŏngchal. 김동민 - 2010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30:227-257.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14.  4
    Standard Codes of the Study of Chunchu during Chosun Dynasty (1) : through Park Sechae’s Chunchubopyeon Gangnyung. 김동민 - 2016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50:75-111.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15.  3
    Seopa Ryu Hee’s Critical View on Chunqiu (春秋) Sajeon (四傳) - Focusing on Chunqiusajeonsanoseol (春秋四傳刪誤說). 김동민 - 2018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94:73-110.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16.  4
    The Feature of the Studies on Spring and Autumn Annals (春秋) in the Song Dynasty by HuAnGuo Interpretation. 김동민 - 2015 - THE JOURNAL OF ASIAN PHILOSOPHY IN KOREA 43 (43):53-85.
    호안국은 理學이라는 송대의 철학 사조를 근간으로 하는 자신만의 독특한 『춘추』 해석을 시도하였다. 그는 天理와 人欲의 대립이라는 구도 속에서 『춘추』 전체를 관통하는 『춘추』의 大義를 밝히고, 그것을 바탕으로 인간 세계의 올바른 윤리를 정립하려고 했다. 그는 『춘추』 속에 기록된 인간 세계의 혼란을 人欲에 의한 天理의 몰락으로 규정하고, 그것을 극복하는 방향으로 나아가는 것, 즉 인욕의 억제를 통해서 천리를 보존하는 것이 『춘추』가 지향하는 최고의 이상이라고 파악했다. 이를 통해 군신관계로 대표되는 인간세계의 다양한 관계 양상을 비판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인간이 추구해야 할 인륜의 법칙을 확립하려고 했다. 이러한 호안국의 『춘추』해석은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17.  4
    The Leadership in Korean Confucianism and its Modern Characteristics : Chíjìng(持敬) to Zhìzhì(至治), the Leadership Wisdom. 김동민 - 2008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23:7-65.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18.  4
    The Thought of Kang Yu Wei (康有爲) on the Ancient Times of China through the Book, Confucius as a Reformer (孔子改制考). 김동민 - 2012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72 (72):237-269.
    『공자개제고(孔子改制考)』는 캉유웨이(康有爲)의 대표적인 저서 중의 하나이다. 이 책은 공자의 유교 창립과 중화 문명의 건설이라는 주제를 주요한 내용으로 다루고 있다. 캉유웨이는 이 주제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에 앞서, 상고시대(上古時代)의 역사와 문명을 공자(孔子)와 관계지우는 작업을 먼저 시도하였다. 상고시대에 대한 기록이 불확실하기 때문에 당시에 출현했던 왕조와 찬란한 문명, 그리고 요(堯)⋅순(舜)으로 대표되는 성왕(聖王)들은 그 존재 자체를 의심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역사와 문명이 후대에 전해진 것은 모두 공자의 탁고(託古) 때문이다. 즉 공자가 다양한 문화와 제도를 새롭게 만들어 유교라는 하나의 새로운 교단을 만들었고, 그 교단의 권위를 높이고 교세를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19.  7
    Understanding and Evaluation of Spring Autumn-Hak by Academic Circle of the Early Qing Dynasty - Focused on 「Gyeongbu⋅Spring Autumn」, {Sagojeyo}. 김동민 - 2011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32:337-370.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0.  4
    Understanding of Park Se Chae’s Neo-Confucian Interpretation of Chunchu Revealed in His Interpretation of Chunchu. 김동민 - 2016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48 (48):91-126.
    『춘추보편』은 조선조 『춘추』 경학의 독창성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책이다. 이 책은 기존의 대표적인 『춘추』 주해서와는 달리, 성리학이라는 새로운 방법론으로 『춘추』에 대한 이해를 시도하였다. 이 책은 성리학적 『춘추』 이해를 위한 일종의 표준 교본이라고 할 수 있다. 당시의 『춘추』 해석은 주로 『춘추』 삼전과 호안국의 책에 의지했지만, 각각의 이론이 서로 달라서 학자들의 혼란만을 초래하였다. “『춘추』는 천리의 표준이자 왕도의 잣대이며, 성인이 마음을 전한 대법”임에도 불구하고, 표준으로 삼을 만한 해석이 없어서 제대로 이해할 방법이 없다는 것이 박세채 문제의식이었다. 그는 정자와 주자의 이론 중에서 핵심적인 내용을 발췌하고, 그것을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1.  3
    권근(權近) 『대학』 도설(圖說)의 구조적 특징과 그 학술사적 의의. 김동민 - 2019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62:9-47.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