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der:
  1.  8
    The intersubjective Legitimation and Explanation to Economic Democracy. 박구용 - 2016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74:103-141.
    이 글의 주된 목적은 법철학적 지평에서 경제민주주의의 상호주관적 정당화와 해명의 가능성을 논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가 지향하는 경제민주주의는 ‘시민사회에서 민주적으로 형성된 공동의 의지와 의견으로 경제질서를 형성하고 규율하는 법체계’를 가리킨다. 이 맥락에서 경제민주주의는 상호주관적 시민 주체들의 자기 교정적 학습과정으로 해명될 것이다. 이를 위해 필자는 먼저 ‘민주주의자 없는 민주주의’로 현 상황을 진단한 다음(1), 경제민주주의와 관련된 개념사를 짧게 살펴보고(2), 헌법 제119조에 명시된 ‘경제의 민주화’에 대한 법철학적 해석을 수행하고자 한다(3). 이상의 기초연구를 토대로 필자는 하버마스의 2단계 사회이론과 법철학의 프레임을 빌어 경제민주주의를 비판의 규범적 원칙으로 정당화한 다음(4),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  1
    The Mimetic Reconstruction of Artistic Space through Works of Hwang, Jai Hyoung. 박구용 - 2017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16:105-128.
    이 글은 황재형의 작품세계를 예술공간의 미메시스적 재구성이라는 프레임으로 읽어보려고 시도한다. 나는 황재형의 작품이 품고 있는 세계가 그 자신의 주관적 경험으로 환원되지 않는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생각한다. 작품 속의 공간은 황재형 작가가 음악적으로 사태에 동화되는 과정, 곧 미메시스를 통해 재구성한 세계로 읽힌다. 이런 읽기를 위해 나는 먼저 빛과 어둠의 교차로에서 그의 작품과 소통하는 길을 찾고자 한다(2). 이 길에서 미메시스적 반응으로 재구성된 황재형 작품의 예술 공간 안팎을 넘나들다가(3), 시간을 품은 공간을 통과해(4) 길 밖으로 나온다(5).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  5
    The Transformation of the Composition and Structure of Intimacy. 박구용 - 2020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93:163-195.
    이 논문의 주된 목적은 친밀성 구성과 구조의 불가역적 전환의 요소를 정리하는 것이 다. 이를 위해 2장은 어느 유대인 소녀의 홀로코스트 기억( 삶은 계속된다 )과 1945년 봄 베를린에서 익명의 독일 여성이 경험한 참혹한 역사( 함락된 도시의 여자 )를 들여다본 다. 여기서 우리는 개인이 프라이버시 공간에서 동등한 자유를 갖기 어렵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심지어 가족이나 연인의 친밀성 외부가 아니라 내부에 항상 폭력이 잠재되어 있 다는 것도 확인할 수 있다. 3장은 친밀성의 구성과 구조의 전환에서 두 편의 소설을 매우 중요한 담론 사건으로 간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