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der:
  1.  2
    A Documental Archaeology as the Practical Schools of Confucianism in Late Ming and Early Qing Dynasty and the Formation of Joseon Silhak in the 18th Century - With The Seongho-school of Kiho-Namin and the Bukhak-school of Noron. 박용태 - 2022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99:119-148.
    청대 고증학은 고전과 경전의 복원(復原)을 통한 법고창신(法古創新) 온고지신(溫故知 新)의 방법론을 주창한 고전주의 학파이다. 하지만 18세기 고증학을 수용하였던 조선의 유학계는 협소한 자구(字句) 해석과 문자학적 훈고(訓誥)에 집중하는 고증학의 경전고변 이 학문적 실용성이 있는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며 또 하나의 지적유희에 젖어들어 훈고 적학 공리공론으로 고증학이 빠져들 것이라는 우려를 떨쳐내지 못하였다. 하지만 조선 중, 후기 유학자들이 고증학 전반에 대하여 비판적인 시각을 견지했던 것 은 아니다. 명청 교체기 초기 고증학의 명대 3대 유로(遺老)인 고염무, 황종희 왕부지 등 에 대해서 조선의 유학계에서는 매우 긍정적이고 우호적인 입장을 모여주는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  2
    禮의 實定法的 성격에 대한 고찰 -禮․法의 體用적 관계 모델 정립을 위한 선행연구 분석. 박용태 - 2011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59:215-234.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  1
    Simulacre and Criticism of Warenästhetik- In a Study of Aristotle’s Ontology. 박용태 - 2015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75:323-346.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4.  3
    Sino-Barbarianism and Primacy of Ki Reflected on Wang Fuzhi’s Idea. 박용태 - 2015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78:423-444.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5.  2
    The Characteristics of Gnositicism in The East Asian Ideology - A Comparison and Review in the science of Religions between the Gnosticism soteriology and the Mahayana Buddhism and Confucianism in East Asia. 박용태 - 2022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100:29-54.
    영지주의는 우주와 세계의 근원이자 발현자로서의 순수의식이며 모든 존재의 원천이 자 존재 그 자체의 동일자로서 시간과 공간을 넘어선다. 모든 생명 존재의 내면에 빛나는 존재이기 때문에 근원적이고 궁극적인 일자(一者)이면서 다시 모든 생명체에 내재된 보 편적 신성(神性)”1)을 추구하는 종교사상이다. ‘영지’란 ‘영혼의 지혜’를 의미하며 그리스 어 그노시스(Gnosis)의 번역어이다. 지식을 의미하는 Gnosis는 외부세계에 대한 인식과 배움을 통한 지식을 의미하지 않는다. 본질직관이나 내적 영감(靈鑑)과 같이 개인의 독립 적이고 주체적인 ‘신비체험’에 의해서 체득하여 깨닫는 지식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그노 시스는 인간의 영혼과 우주 만물에 내재하는 신이나 근원적 일자를 체험을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6.  2
    유교자본주의론의 베버 이론에 대한 오해-‘프로테스탄티즘과 자본주의의 친화력’ 문제를 중심으로-. 박용태 - 2007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50 (50):393-415.
    「유교자본주의론」은 프로테스탄티즘의 금욕윤리가 서구 자본주의 출현과 친화력을 가지고 있다는 베버이론에 착목하고 있다. 즉 동아시아에서도 유교 윤리가 자본의 본원적 축적과 생산력의 폭발적 증가라는 자본주의의 본연적 메커니즘의 안정적 구축에 동력이 되었다’는 분석이다. 하지만, 이것은 베버 이론과 전혀 다른 것이었다. 베버에 의하면 프로테스탄티즘의 금욕윤리는 노동과 직업적 소명의식을 통하여 초기자본주의 형성에 기여했지만, 본격적인 자본주의의 확대 메커니즘과는 친화력이 없을 뿐만 아니라 이를 반대하는 측면을 명확히 하고 있다. 금욕적 직업 노동을 통해 축적된 부가 자본의 본원적 축적이라는 측면을 가진다면, 이는 프로테스탄티즘의 윤리에서 용인되는 것이 아니라 이를 윤리적으로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