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der:
  1.  3
    陽明學과의 비교에서 본 ‘退溪心學’ 논의. 주광호 - 2008 - THE JOURNAL OF ASIAN PHILOSOPHY IN KOREA 30:1-25.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 柳正源 『易解參攷』의 성리학적 해석 특징과 의리역학. 주광호 - 2014 - THE JOURNAL OF ASIAN PHILOSOPHY IN KOREA 42:419-451.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  2
    Hetu-Luoshu and Liu-mu’s Mathematical Theories of Zhou-yi. 주광호 - 2016 - THE JOURNAL OF ASIAN PHILOSOPHY IN KOREA 46:1-35.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4. 李萬敷의 역학과 『易大象便覽』. 주광호 - 2015 - THE JOURNAL OF ASIAN PHILOSOPHY IN KOREA 44:235-257.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5. 주자학적 구조에서 본 栗谷 易學의 특징. 주광호 - 2013 - THE JOURNAL OF ASIAN PHILOSOPHY IN KOREA 40:59-86.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6. The Ontological and Axiological Implication of 'Taijitushuo' of Zhoudunyi. 주광호 - 2007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20:7-34.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7.  4
    The position of the theory of Cheng-yi's 'Li' in the course of 'Taeguek' theory of the Sung Dynasty period. 주광호 - 2008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24:239-261.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8.  6
    The Problem of Category Misunderstanding in the Theory of Taiji of Ganjae Jeonwu. 주광호 - 2023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165:201-232.
    간재는 화서 이항로·노사 기정진·한주 이진상 등 소위 ‘心理家’들이 마음 속 도덕본성의 직접적인 활동성(太極動靜)을 강조함으로써 마음 그 자체로 부터 합리성과 도덕성을 찾으려(心爲太極) 한다고 비판한다. 그의 비판의 요지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태극동정’은 태극이 실제로 운동한다는 의미가 아니다. 왜냐하면 태극은 理인데, 리는 無爲하기 때문이다. 둘째, ‘심위태극’ 역시 마음과 본성이 일치된 성인의 경지여야 가능한 이야기일 뿐 기질적 제약이 있는 일반인의 경우에는 해당하지 않는다.BR 필자의 이해에서 간재의 태극설 자체는 주자의 형이상학 체계에 비추어 보았을 때 전혀 문제가 없다. 다만 간재 태극설의 관심은 엄밀히 말해 태극에 대한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9.  3
    『주역본의』의 성리적 성격에 관한 연구. 주광호 - 2015 - THE JOURNAL OF ASIAN PHILOSOPHY IN KOREA 43:143-169.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10. 程頤의 정치참여의식에서 도덕의 위상 -- 『程氏易傳』을 중심으로. 주광호 - 2009 - THE JOURNAL OF ASIAN PHILOSOPHY IN KOREA 32:291-316.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