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Concept of Sublime in the Symbolic Art-Type of Hegel’s Aesthetics -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and Differences with Kant, Lyotard, and Žižek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91:89-125 (2020)
  Copy   BIBTEX

Abstract

숭고의 미학사에서 헤겔은 핵심 인물로 평가되지 않은 것은 물론, 현대로 올수록 그 반 대편 인물로 더 많이 언급된다. 그러나 헤겔 미학에서 숭고 개념은 의미와 표현의 불일치를 특징으로 하는 상징적 예술 형식의 주요 범주이고, 근년 들어 부정성이나 무 개념과 함께 재조명되고 있다. 숭고는 고대 그리스의 ‘탈아’나 ‘망아’ 등에서 기원하여 로고스적 합리성이나 고전주의의 한계를 보완하는 균형추 역할을 해왔다. 롱기누스의 수사학적 숭고를 거쳐 버크에 이르면, 숭고는 무질서하고 무형식적인 대상에서 촉발되는, 고통과 쾌락이 결합된 강렬한 감정으로 체계화되고, 칸트의 수학적․역학적 숭고로 이어진다. 칸트의 숭고는 ‘현시할 수 없는 것의 현시’로서, 오성의 범주를 벗어나는 대상을 상상력이 이성 개념과 연관시켜 일어나는 무규정적 이성 개념의 현시이다. 헤겔 미학에서 숭고는 상징적 예술 형식의 주요 범주를 이룬다. 헤겔은 예술을 이념의 구현으로서 가상으로 규정하고, 예술 형식 또한 이념(내용)과 형태(형식)의 통일(구현)인 가상의 정도에 따라 구분한다. 상징적 예술 형식은 내용과 형식이 일치를 이루지 못하는, ‘불완전’하고 ‘불충분’한 가상으로서 예술, 예컨대 이집트나 동방의 종교적 예술과 문학, 알레고리나 비유적 표현들이 전형을 이루며, 장르로는 재료적 특성이 정신성의 구현에 한계로 작용하는 건축이 대표적이다. 헤겔의 숭고개념은 상징적 예술 형식이 갖는 내용과 형식, 구현 이념과 질료적 형태의 불일치를 의미하므로, 예술 작품의 의미 내용과 표현 사이의 불일치를 주로 표현하는 현대예술 일반과 연관된다. 리오타르는 칸트의 숭고에 주목하여 묘사할 수 없는 것, 즉 인식 능력 밖에 있는 것을 묘사하고자 하는 모순적 시도의 가능성을 숭고에서 찾는 반면, 지젝은 헤겔의 부정성과 무 개념을 소환하여, 물자체가 실은 근본적인 부정성이라는 것, 즉 표상 너머에 존재하는 것은 물자체가 아니라 순수 무이므로, 주관과 대상의 불일치를 통한 물자체의 경험이라는 칸트적 숭고는 ‘무의 구현물’에 다름아닌 것이라 진단함으로써, 헤겔의 숭고를 재해석할 통로를 만든다.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92,611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The Sublime, The Event And Graffiti.Connell Vaughan - 2010 - Postgraduate Journal of Aesthetics 7 (2):50-61.
Sensibility and the Law: On Rancière's Reading of Lyotard.Peter Milne - 2011 - Symposium: Canadian Journal of Continental Philosophy/Revue canadienne de philosophie continentale 15 (2):95-119.
The sublime.Philip Shaw - 2006 - New York: Routledge.
Awe or envy: Herder contra Kant on the sublime.Rachel Zuckert - 2003 - Journal of Aesthetics and Art Criticism 61 (3):217–232.
Art, Religion, and the Sublime.Lambert Zuidervaart - 2012 - The Owl of Minerva 44 (1-2):119-142.
The Kantian sublime: from morality to art.Paul Crowther - 1989 -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The Sublime in Modern Philosophy: Aesthetics, Ethics, and Nature.Emily Brady - 2013 - New York,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2

Downloads
4 (#1,630,023)

6 months
2 (#1,206,551)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