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der:
  1.  8
    Chuang-tzu s Philosophy of Sword and Practice Theory of Impersonal Self - Focusing on Elements of Chuang-tzu s Philosophy Reflected in Kung Fu Master -. 이종성 - 2019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88:141-168.
    이 글은 장자가 주목한 칼의 철학과 이상적 인간상이란 주제를 논의의 축으로 삼아 현대 중국의 최고작가로 평가받는 진융(金庸, 1924-2018)의 작품 소설 영웅문 의 일부를영화화한 (倚天屠龍記, Kung Fu Master, 1993)의 철학적 의의를 구명해본것이다. 이 글에서는 형식상 축약될 수밖에 없는 영화의 한계를 감안하여 원작소설의 내용을 필요에 따라 원용하여 보완해가면서 논의를 전개하였다. 그 결과 영화의 중심소재이기도 한 의천검과 도룡도라는 칼에 담겨진 철학적 의의가 장자철학과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장자는 살상무기로써 전쟁의 도구가 되는 칼의 존재에 대해 주목한바 있는데, 는 이와 같은 장자의 철학정신을 잘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  8
    Feng Youlan’s Hermeneutic Perspective on Lao tzu-Chuang tzu and Accompanying Problems in its Transformation. 이종성 - 2016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84:359-383.
    풍우란(馮友蘭: 펑유란, 1895-1990)은 현대를 대표하는 중국철학사가이다. 이 글은 풍우란의 이름으로 발간된 『중국철학사』, 『중국철학간사』, 『중국철학사신편』이라는 세 편의 『중국철학사』에 나타난 노장해석의 관점에 초점을 맞추어 그 중심 내용과 해석상의 전변의 문제에 관하여 검토한 것이다. 따라서 이 글은 선진도가의 철학자 중에서 특히 노자와 장자의 철학사상에 대한 풍우란의 기본입장을 검토한 의의가 있다.BR 먼저 풍우란의 노자해석에서 주목을 끄는 것은 노자와 공자의 시대적 선후문제에 관하여 노자보다 공자를 앞선 인물로 평가한 점이다. 그리고 서양철학의 세례를 충분히 받았던 풍우란이었던 만큼 노자를 해석하는데 있어서도 서양철학의 해석방식을 원용하여 노자철학을 해석한 특징이 눈에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  6
    Ideal Character and Life Perspective in Gubong Song Ik-phil’s Taoist Thought. 이종성 - 2018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94:463-488.
    구봉 송익필(1534-1599)은 조선 중기를 대표하는 성리학자요 예학자이다. 그는 율곡 이이, 우계 성혼 등과 도의지교를 맺었을 뿐만 아니라 그들과 필적할만한 학문적 능력을 갖추었던 인물이다. 그런데 구봉집에는 유교지식인들에게는 특이하게 비쳐질 수밖에 없는 도가적 사유의 스펙트럼을 통해 해석된 세계와 인간에 대한 다수의 시선들이 확인된다.BR 특히 구봉은 『장자』의 내편, 외편, 잡편의 전편에 걸쳐있는 주요 철학개념들을 자유롭게 원용하여 자신의 삶의 지평을 이상적으로 설계해보고자 한 특징이 확인된다. 그는 논문의 형식보다는 자유로운 형식의 문학 장르의 하나인 시의 양식을 통해 자신과 세계에 대한 내면적 심상을 피력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는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4.  5
    Sūn Bìn's Military Thought -Focusing on The Warring States (2011)-. 이종성 - 2019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86:201-225.
    이 글은 영화 를 중심으로 그 주인공 손빈의 일화와 군사사상을 역 사적 측면과 철학의 관점에서 고찰해보고자 한 것이다. 본문의 내용은 크게 두 가지 주제를 담 고 있다. 먼저 역사적 손빈과 영화 속 손빈의 일화에서 확인되는 두 명의 손빈이 어떻게 같고 다 른지 살펴본다. 그리고 영화에 반영된 손빈의 군사사상을????손빈병법????과 각종 역사서의 기록과 대조하여 영화적 상상력의 단초를 확인함과 동시에 상호 차별성은 무엇인지 확인해 본다. 특히 이 글은 역사적 손빈과 영화 속 손빈의 상호 유사성 및 차별성을 확인하는 방편으로써 손빈과 두 여주인공과의 관계, 도박경마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5.  10
    Subjective Transformation of Bongwoo Kwon Tae-hoon's Taoist Thought. 이종성 - 2023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102:125-150.
    현대 한국선도를 대표하는 봉우 권태훈의 사상은 그 폭이 매우 넓으면서도 깊다. 이 글은 봉우의 유불도 삼가사상 가운데 도가사상에 초점을 맞춰 그 철학적 의의를 탐색해본 것이다. 특히 봉우가 도가사상을 일방적으로 수용한 측면보다는 도가사상의 철학적 요소들 을 자기화하여 주체적으로 변용한 내용들을 중심으로 그 의의를 살펴본 특징이 있다. 이 글은 『음부경』의 오적(五賊: 오행을 훔쳐옴) 사상을 대체한 호흡법의 의의, 쓸모없음의 쓸 모를 아는 인재관 제창의 문제, 현재적 시의성 강조와 그 도가철학적 지반에 관한 세 가지 주제를 통해 봉우의 도가사상에 대한 입장을 검토해본 것이다. 봉우의 도가사상에 (...)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6.  5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Ham Seok-Heon's View of Laozi. 이종성 - 2016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86:283-307.
    함석헌의 사상은 크게 3단계의 변모를 보인다. 즉 20-30대의 민족주의와 민중사상, 40-50대의 비폭력주의와 평화사상, 60-80대의 생명사상과 민중 주체적 전체주의사상으로의 변모가 그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사상의 변모는 서로 단절된 것이 아니라 상호 밀접한 사상의 연관성을 그대로 유지한다. 한편 그 사상의 변모 속에서도 근원적으로 변하지 않는 한 가지가 있다. 그것은 바로 함석헌 자신이 ‘씨알’이라고 부른 민중 주체의 존재적 자각과 그들에 대한 애정이다.BR 이 글은 함석헌이 40-50대에 집중적인 관심을 보이고 이야기하기 시작한 동양사상 중 노자에 관한 몇 가지 기본 입장을 살펴본 것이다. 나는 이 글을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7.  3
    The High Way and Shorter Way : In regard to a final choice of Yulgok's Suneon. 이종성 - 2016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75:71-95.
    『순언』은 『노자』를 전체 40장으로 재편장하여 구결과 주해를 붙인 율곡의 『노자』주석서이다. 이 글은 『순언』의 결론에 해당하는 『순언』 제40장의 내용을 제39장의 내용과 연계시켜 그 입론의 의의를 검토하고자 한 것이다. 율곡은 『노자』제53장의 내용 중에서 큰길과 곁길에 관한 선택의 문제를 『순언』의 최종 결론으로 선택한다. 이것은 큰길과 곁길 가운데 큰길에 대한 선택을 종용하는 율곡적 사유의 결론에 해당한다. 큰길이 대도를 상징하는 것과는 다르게 곁길은 샛길이나 삿되게 기울어진 길을 의미한다. 대도에 해당하는 큰길은 일반적으로 ‘자연’이나 ‘천리’로 인식되는 반면 곁길은 ‘인위’나 ‘인욕’으로 파악된다. 노자는 ‘저것을 버리고 이것을 취하라’고 한다.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8.  6
    The Thoughtful World of LaoZhuang’s Philosophy in the Two Paintings Seen by Chungam Kim Jeong. 이종성 - 2023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12:219-239.
    충암 김정은 정암 조광조와 더불어 기묘사화 때 희생된 사림파 인물로서 당대의 도학사상을 대표하는 인물이다. 이런 그가 유학사상 이외에 노장철학사상에 대해 관심을 갖고 심도있는 해석을 제시한 점은 학술적 가치가 매우 크다. 그럼에도 충암사상을 노장철학의 단일 입장에서 면밀하게 연구한 성과는 전무한 상황이다.BR 이에 이 글은『충암집』에 나타난 노장철학사상과 관련한 여러 가지 내용들 가운데 특히 노자출관도(老子出關圖)와 남곽자은궤도(南郭子隱几圖)라는 그림을 보고 충암이 동명의 시작품으로 제시한「노자출관도」및「남곽자은궤도」에 나타난 노장철학의 사유세계를 구체적으로 검토해본 것이다.BR 충암은 두 그림 속에서 장자가 제시한 진인(眞人)의 모습을 확인하고, 노자를 진인으로 묘사함과 동시에 남곽자기 역시 진인으로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9.  5
    View of Chuang Tzu of Maewoldang Kim Si-seop : Recognition of Criticism of Reality and Philosophy of Outsiders in the Context of “The Human World”. 이종성 - 2022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100:107-133.
    매월당 김시습은 조선조를 대표하는 학자로서 수양대군의 왕위찬탈 사건의 불의함을 보 고 당시의 현실에 항거하여 은둔과 유랑의 삶을 선택한 생육신 가운데 한 명이다. 이 글은 매월당의 유불도 삼가사상 가운데 도가사상에 초점을 맞춰 그의 학문관을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이 글은 특히 매월당이 본 장자관의 기본입장이 무엇인지 살펴보는 것이 목표이다. 매월당은 자신의 시대가 장자가 언급한 인간세와 같다고 규정한다. 인간세란 기본적으 로 인간이 살아가는 세상을 가리킨다. 그러나 장자는 특히 정치적 혼란의 상황으로 야기된 난세를 지칭하여 인간세라고 규정한다. 매월당은 이러한 장자의 사상을 계승하여 자신의 시대를 인간세라고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10.  9
    Yeonam Park Ji-won s Experimental Thinking of a Daoist Ideal World. 이종성 - 2020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92:285-308.
    연암 박지원은 유교적 독서인이었음에도 도가적 세계관을 통한 이상세계의 대안을 모 색한 특징이 있다. 이 글은 이 점에 초점을 맞추어 연암의 한문소설 에서 발견되 는 도가적 이상세계상에 대한 몇 가지 주제적 검토를 수행해 본 것이다. 이 글은 먼저 연암이 바라본 섬과 육지의 공간적 은유를 통해 드러나는 개방과 폐쇄의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육지의 인위적인 폐쇄성과 대비되는 섬의 존재적 개방성의 측면을 확인해 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의식의 연장선상에서 섬으로의 공간적 이주의 의의를 검토해 보았으며, 이와 더불어 연암 당시에 혼란을 야기하던 도적 집단의 해소방편으로 섬 으로의 공간적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11.  6
    Yulgok’s Public Leadership Spirit and the Issues of Politics and Media Communication in the Realization of the Heavenly Principle. 이종성 - 2021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95:73-102.
    이 글은 율곡의 공공성 리더십 정신을 그 이념과 천리(天理) 구현의 정치 및 언론소통 의 문제를 중심으로 검토한 것이다. 이 글의 내용은 대체로 다음과 같다. (1) 율곡의 공공성 리더십의 이념은 성리학적인 보편적 천리의 구현에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율곡에게서 성인은 이 보편적 천리를 구현한 인간으로서, 공공성 리더십이 성공을 거두기 위해서는 현실군주가 성인이 되지 않으면 안 된다. 그런데 성인이란 ‘수기치인’을 자신의 임무로 받아들여야 하는 존재이다. 그런데 아직 성인이 되지 못한 현실군주는 자기 자신을 닦는 공부에 게을러서는 안 된다. 이러한 점 때문에 율곡은 군주에게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