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der:
  1.  36
    An Essay on the Meaning of Patriotism: Focused on the Moral Standing of Patriotism. 조일수 - 2013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93):317-343.
  2.  5
    A Study on the ‘Sound’ Patriotism Education in Schools. 조일수 - 2017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112):217-242.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  6
    A Study on Liberalistic Citizenship. 조일수 - 2011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82):1-24.
  4.  6
    A Study on Republican Notions of Freedom: Focused on the Liberal-Republican Debate. 조일수 - 2012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85):31-53.
  5.  11
    A Study on the Justification of Political Obligation: Focussed on the Classification of the Theories. 조일수 - 2012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87):93-117.
  6.  9
    A Study on Republican Citizenship -focused on the differences between Athenian traditions and Roman traditions. 조일수 - 2011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80):291-316.
  7.  26
    A Study on Republican Patriotism : Focused on the Patriotism Propounded by M. Viroli. 조일수 - 2016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106):159-182.
  8.  11
    Some Suggestions on National Identity Education for Social Integration. 조일수 - 2014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99):65-90.
  9.  7
    The Challenge for the Construction of Northest Asian Citizenship. 조일수 - 2017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115):43-68.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10.  6
    The Prospects for Ethics Studies and Ethics Education in Korea. 조일수 - 2008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69):167-190.
    윤리 연구와 윤리 교육이 독자적 학문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시장성을 지니는 것과 더불어 학문적 체계와 정체성을 형성해야 한다. 윤리 연구와 윤리 교육이 시장성을 지니기 위해서는 우선 외부 환경의 변화에 따른 기회를 이용하고 위협을 극복하기 위해 연구자 집단의 다양한 학문적 배경이라는 강점을 최대한 활용하고 정체성의 미약이라는 약점을 보완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윤리 연구와 윤리 교육의 포지션은 인접 학문과의 차별화를 위해 사회적 필요와 요구에 유의하면서 규범, 가치 및 평가의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선정해야 한다. 한편, 윤리 연구와 윤리 교육이 학문적 체계와 정체성을 형성하기 (...)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