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ults for 'Gānzhī'

Order:
  1. A Study about Establishment of Gānzhī (干支) in the Theorization of Zǐpíng (子平) Mìnglǐxué (命理學). 신정원 - 2023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168:85-105.
    命理學이란 중국 고대로부터 시원하여 음양오행에서 발현된 천간과 지지로 사람의 命式을 세우고 다양한 논법으로 길흉을 해석하는 학문이다. 논법의 이론화는 命에 대한 체계적 연구가 시작된 漢대에 첫 번째 분기점을 맞이하였고, 宋대 초기에 그 논리가 정교해지고 법칙이 규격화되었다. 음양오행, 천간 지지, 운명과 길흉 등에 관한 학술적 의미는 꾸준히 연구되어 왔지만 명리학이라는 명칭을 덧씌우면서 학술의 전당에서 제대로 안착하지 못하는 현실도 경험하였다.BR 子平명리학은 송대 이후 전개된 명리학의 今法이론을 칭한다. 이 논문은 명리학의 금법이 정립된 과정에 관심을 가지고, 「계사전」의 ‘易有太極’에서 시원하여 『太極圖說』과 『易學啓蒙』에 이어진 태극・양의・사상・팔괘의 생성 사유가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  3
    The Meaning and the Change of the Five Elements. 임정기 - 2020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02:329-348.
    본 논문은 「홍범」의 오행을 중심으로 『태극도설』에서의 오행 개념의 성립까지를 검토했다. 「홍범」의 오행에서 오행 개념의 성립을 이야기할 수 있다. 오행 개념의 성립은 오행 세계의 성립이고, 따라서 오행에 대한 해석은 오행 세계의 변화를 의미하게 된다. 이러한 오행의 해석으로 상승 개념이 있었고, 그리고 간지나 방위, 사계절과 음양 등과의 관계를 통해서 오행이 새로이 해석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오행상승이라는 해석은 오행상승과 오행상극이라는 두 단계의 해석이 있었다. 그리고 오행의 세계에 간지와 방위가 들어옴으로 해서 오행의 세계에 시간과 공간의 의미가 부여되었다. 또한 오행과 사계절의 결합으로 오행은 계절의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  71
    Chinese Astronomy for the Early Modern European Reader.Florence C. Hsia - 2008 - Early Science and Medicine 13 (5):417-450.
    Around 1716, the French astronomer and academician Joseph-Nicolas Delisle took up a new project: the twinned topics of Chinese chronology and astronomy. Unable to access Chinese sources and not knowing any fellow savants who shared this particular interest, Delisle methodically made extracts and compiled data from the existing European literature. Among Delisle's papers at the Observatoire de Paris still exis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ncluding a list of the books he found relevant. This paper develops a close reading of (...)
    Direct download (5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1 ci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