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der:
  1.  1
    An Examination of Ethical Intuitionism. 이대희 - 2022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08:109-148.
    윤리적 직관주의는 20세기 후반의 기간 동안 격렬한 논쟁이 이루어진 도덕 인식론이다. 예를 들면, 매키는 직관주의를‘우리의 도덕적 사유의 희화화’라고 불렀고, 맥도웰은 그것을 ‘유령 인식론’이라고 불렀다. 윤리적 직관의 해명을 시도할 때, 프리차드는‘도덕적 사유작용’이라는 표현을 사용한다. 그는 그것을‘도덕과 무관한 사유작용’인 논증 제시작용과 대비시킨다. 도덕적 사유작용은 예컨대 의무에 대한 즉각적 혹은 직접적 인식이다. 이러한 표현들이 가진 문제는 그 표현들이 매우 분명하지 않아서 직관주의가 실제로 유령 인식론이 아니냐는 의심을 불러올 수 있다는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직관주의는 20세기 내내 수많은 비판을 겪어왔다. 그리고 특정한 기간 동안 직관주의는 평판이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  1
    An Examination of the Origins and Nature of Morality. 이대희 - 2020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02:297-328.
    도덕(morality)의 기원(origins)과 본성(nature)에 관한 철학적 탐구의 역사는 장구하다. 플라톤의 『프로타고라스』(Protagoras)에서 전개된 신화적(mythical) 설명은 홉스의 신화적 설명을 거쳐 흄의 자연주의적 설명과 칸트의 형이상학적 설명으로 발전하여 적어도 19세기까지 도덕철학의 영역을 굳건하게 지켜왔다. 하지만 20세기에 와서 과학(사회생물학, 도덕심리학, 신경과학)의 놀라운 연구성과는 도덕의 기원과 본성에 관한 전통철학의 설명방식에 대해 깊은 회의와 불신을 불러일으켰다. 전통철학의 입장이 ‘위로부터의 도덕(morality from above)’을 이야기하는데 반해서 새로운 과학적 입장은 ‘아래로부터의 도덕(morality from below)’을 주창한다. 도덕의 기원과 본성에 관한 전통철학과 현대과학의 탐구성과는 이제 분명해진 것 같다. 인간의 도덕을 신의 명령(divine command)이나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  1
    The Ring of Gyges and Moral Education. 이대희 - 2019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95:213-238.
    본 연구의 목적은 인간의 본성에 대한 철학적 탐구의 역사와 인간의 도덕성의 기원에 대한 객관적 검토를 통하여 도덕교육의 필요성과 의의를 확인하는 데 있다. 이러한 작업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먼저 플라톤과 소피스트의 논쟁을 중심으로 인간의 도덕성의 기원문제에 대한 객관적 검토를 시행할 것이다. 그리고 홉스의 계약론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인간이 비록 이기적 존재이지만 합리적 선택의 능력을 가진 이성적 존재라는 측면에 주목하면서 합리적 합의로부터 도출되는 도덕성을 설명하는 데 필요한 장치와 가정을 검토할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사회가 점점 상호 협력하는 환경, 즉 보다 정의로운 사회 환경이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